최근 강원도 영동 지역이 폭설로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폭설 이후 관광객의 발길이 뚝 끊겨 강원지역 숙박 시설과 놀이 시설, 음식점 등이 큰 타격을 입었다고 하며, 이에 강원도에서는 눈을 관광 상품화한다는 역발상으로 설경을 홍보하며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다고 합니다. 강원도의 홍보 때문은 아니지만, 어쨌거나 계속해서 마음속으로만 ‘가 보자, 가 보자’ 생각만 하고 찾아가지 못했던 <대관령 삼양목장>에 다녀 왔습니다.
찾아보기 전에는 대관령 양떼목장과 대관령 삼양목장이 같은 곳을 말하는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알고 보니 두 곳이 서로 다른 데네요. 양떼목장이 차량 접근성은 더 좋은 것 같은데 삼양목장이 훨씬 규모가 크다고 해서 목적지를 삼양목장으로 정했습니다. 홈페이지 설명에 따르면 대관령 삼양목장은 1972년 서울 여의도의 약 7.5배 규모인 600만평의 초지를 개간하기 시작해서 1985년 현재의 모습이 되었으며, 동양 최대의 규모를 자랑한다고 합니다. 삼양목장이 대관령에만 있는 줄 알았는데, 홈페이지에서 보니 충남에는 서산목장, 제주도에는 제동목장, 경기도에는 안성목장이 있다는군요.
고속도로를 타고 달리는데 어느 순간부터 갑자기 날벌레 같은 것들이 앞 유리창으로 지나가기 시작하더군요. 처음엔 ‘응? 이 날씨에 날벌레가?’ 했는데 어느새 점점 커지는 게 보입니다. 그러고 보니 이게 날벌레가 아니라 눈이었습니다! ‘아, 드디어 강원도에 들어섰구나!’
길을 따라 주욱 올라가는데 우덕교라는 작은 교각을 지나자 “대관령 삼양목장 1.3km”라는 표지판이 보입니다. 이제 거의 다 왔구나 싶던 찰나! 갑자기 비포장도로가 시작됩니다. 그런데 도로 사정이 영 좋지 못합니다. 단순히 포장만 되지 않은 정도가 아니라 군데군데 파이고 물이 고여 차가 이리 기우뚱 저리 기우뚱, 거북이 걸음으로 올라가야 했습니다.
목장은 연중 무휴입니다. 이용 시간은 계절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 개장 시각은 오전 8시 30분 공통이고, 매표 마감 시각은 11월~1월 오후 4시, 2월과 10월은 오후 4시 30분, 3월, 4월, 9월은 오후 5시, 5월~8월은 오후 5시 30분입니다. 입장 요금은 성인 8,000원, 36개월 이상부터 초, 중, 고등학생은 6,000원입니다.
표를 끊으려 하자 매표소 직원께서 오늘은 안개가 많이 끼어 전망대 풍경이 좋지 않은데 그래도 올라가겠냐 하시더군요. 어차피 첫 나들이, 날씨가 무슨 상관이겠습니까. 흔쾌히 그러겠다 했습니다. 전망대 풍경까지 신경써 주시는 직원분이 고맙더군요. 차량으로 전망대까지 한번에 주욱 올라갔다가 내려오는 길에 군데군데 들러 둘러보고 오면 된다고 하시더군요.
사실 대관령 삼양목장을 방문하기 전에는 거의 아무런 사전 지식 없이 갔습니다. 홈페이지를 찾아 본 것도 방문한 후에 한 거구요. 길을 따라 올라가다 보니 가축들 방목장만 있는 게 아니고 군데군데 영화 촬영지로 쓰였던 곳이라며 표지판이 서 있습니다. 영화 연애소설, 태극기 휘날리며, 웰컴투동막골, 내 여자친구를 소개합니다, 친절한 금자씨, 드라마 가을동화, 베토벤 바이러스 등등의 촬영지로도 쓰였다고 합니다.
군데군데 셔틀버스 정류장이 있는 걸로 보아 원래는 셔틀버스도 다니는 것 같은데, 운행하는 계절이 따로 있는 건지 저희가 방문한 날에는 셔틀버스를 볼 수 없었습니다.
워낙에 넓은 규모라 홈페이지에 소개된 주소는 이렇게 돼 있네요. “강원도 평창군 도암면 횡계2리 산 1-107번지” 외 60필지. 왼쪽에 표시된 지도는 대관령 삼양목장의 초입인 주차장, 오른쪽 지도는 가장 마지막에 도착하는 동해전망대입니다.
찾아보기 전에는 대관령 양떼목장과 대관령 삼양목장이 같은 곳을 말하는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알고 보니 두 곳이 서로 다른 데네요. 양떼목장이 차량 접근성은 더 좋은 것 같은데 삼양목장이 훨씬 규모가 크다고 해서 목적지를 삼양목장으로 정했습니다. 홈페이지 설명에 따르면 대관령 삼양목장은 1972년 서울 여의도의 약 7.5배 규모인 600만평의 초지를 개간하기 시작해서 1985년 현재의 모습이 되었으며, 동양 최대의 규모를 자랑한다고 합니다. 삼양목장이 대관령에만 있는 줄 알았는데, 홈페이지에서 보니 충남에는 서산목장, 제주도에는 제동목장, 경기도에는 안성목장이 있다는군요.
길을 따라 주욱 올라가는데 우덕교라는 작은 교각을 지나자 “대관령 삼양목장 1.3km”라는 표지판이 보입니다. 이제 거의 다 왔구나 싶던 찰나! 갑자기 비포장도로가 시작됩니다. 그런데 도로 사정이 영 좋지 못합니다. 단순히 포장만 되지 않은 정도가 아니라 군데군데 파이고 물이 고여 차가 이리 기우뚱 저리 기우뚱, 거북이 걸음으로 올라가야 했습니다.
목장은 연중 무휴입니다. 이용 시간은 계절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 개장 시각은 오전 8시 30분 공통이고, 매표 마감 시각은 11월~1월 오후 4시, 2월과 10월은 오후 4시 30분, 3월, 4월, 9월은 오후 5시, 5월~8월은 오후 5시 30분입니다. 입장 요금은 성인 8,000원, 36개월 이상부터 초, 중, 고등학생은 6,000원입니다.
표를 끊으려 하자 매표소 직원께서 오늘은 안개가 많이 끼어 전망대 풍경이 좋지 않은데 그래도 올라가겠냐 하시더군요. 어차피 첫 나들이, 날씨가 무슨 상관이겠습니까. 흔쾌히 그러겠다 했습니다. 전망대 풍경까지 신경써 주시는 직원분이 고맙더군요. 차량으로 전망대까지 한번에 주욱 올라갔다가 내려오는 길에 군데군데 들러 둘러보고 오면 된다고 하시더군요.
사실 대관령 삼양목장을 방문하기 전에는 거의 아무런 사전 지식 없이 갔습니다. 홈페이지를 찾아 본 것도 방문한 후에 한 거구요. 길을 따라 올라가다 보니 가축들 방목장만 있는 게 아니고 군데군데 영화 촬영지로 쓰였던 곳이라며 표지판이 서 있습니다. 영화 연애소설, 태극기 휘날리며, 웰컴투동막골, 내 여자친구를 소개합니다, 친절한 금자씨, 드라마 가을동화, 베토벤 바이러스 등등의 촬영지로도 쓰였다고 합니다.
군데군데 셔틀버스 정류장이 있는 걸로 보아 원래는 셔틀버스도 다니는 것 같은데, 운행하는 계절이 따로 있는 건지 저희가 방문한 날에는 셔틀버스를 볼 수 없었습니다.
'여행 - 국내 > 강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원 강릉시 죽헌동] 오죽헌(烏竹軒) (0) | 2014.03.17 |
---|---|
[강원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해수욕장 (0) | 2014.03.14 |
9월 4일, 남이섬에서 발견한 중고책 시장 (0) | 2007.10.01 |